본문 바로가기
편스토랑

편스토랑_122화_22년04월8일(류수영)_김치찜, 김치죽

by 암흑탐험가 2022. 4. 18.
반응형

평소보다 약간 짧았던 편스토랑.  그리고 어김없이 등장한 엔딩요정 어남선생.

분량에 실패한 방송의 땜빵도 재미있네요. 

 

저번 명절엔 잡채를 되살리더니 이번엔 실패한 김치찌개도 되살리고 김치찜, 수란김치죽을 전수합니다.

 


어남선생이 집에서 요리연구 중 도움요청 연락을 받았습니다.  

박보민이 김치찌개 실패해서 어떻게 되살릴 수 있는지 도움을 요청했네요.

실패원인은 크게 4가지입니다. 

 

1. 김치찌개 끓이는 중 고소한 맛을 위해 참기름을 추가한 것.

2. 신김치, 묵은지가 없어 덜 익은 김치를 사용한 것.

3. 김치찌개에 들어가는 김치의 양이 적음.

4. 부족한 맛을 올리기 위한 조미료 과다사용.

 

참기름을 넣으면 안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김치찌개는 칼칼한 맛이 중요한데

참기름을 넣으면 칼칼한 맛을 해치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김치찌개에는 절대 참기름 사용 금지.

 

두번째, 덜익은 김치.  김치찌개는 잘 익은 김치만 활용해도 중간이상의 맛은 보장합니다.

묵은지나 신김치를 사용하면 되는데, 마트에서 묵은지를 사오거나 생김치밖에 없다면 한달간 냉장 보관 후 사용하면

묵은지의 맛을 충분히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적은양의 김치는 김치찌개의 실패를 부르는데요.  최소 1/4포기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국물의 양이 많아지면 김치국이 되니 김치찌개는 국물이 자작하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김치는 많이~ 물은 적게~

 

조미료는 우리에게 맛을 보장해주죠.  하지만 많이 넣는다고 깊은맛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물 500ml당 1숟가락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조미료를 안쓰면 약간 밋밋한 맛이 나죠.  하지만 안써도 맛있어요.

 

그럼 맛없이 끓여진 김치찌개를 살려낼 방법도 제시해주겠죠?  

 

1. 30~40분 푹 끓여서 국물이 자작하게 끓이는게 첫번째 입니다.

2. 끓이다가 3배식초 한스푼 넣어주면 맛이 살아난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서도 살리지 못한다면?  그건 맛없는 김치탓이지 절대 내탓은 아닙니다.  김치가 잘못한거예요.  정말이예요!!!

 

그리고 추가로 김치찌개 맛있게 끓이는 팁 하나 알려줍니다.

볶음김치를 만들어놓고, 물을 부어 자작하게 끓이면 맛있는 김치찌개를 만들 수 있다고 하네요.  

 


그외 김치요리 중 김치찌개와 비슷한 비용에 훨씬 더 쉽고 맛있는 김치요리방법을 알려줍니다. 

김치찜 만드는 방법 알려드릴께요.

 

김치찜의 양념은 간장, 설탕, 멸치액젓이 들어가요.  그리고 맛있는 김치찜은 당연히 김치가 맛있어야하죠.

그래서 반드시 필요한 핵심재료는 신김치 또는 묵은지입니다.

 

시판용 신김치 500g에 돼지고기 앞다리살 500g.  김치와 돼지고기는 같은양으로 준비해주셔야해요.

 

냄비는 예열하고 기름 살짝 둘러주세요.  그리고 앞다리살을 앞, 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주세요.

저렇게 고기를 초벌구이해주면 고기가 흐물거리지 않고 썰기도 편하고 조리시간도 단축된다는 어남선생님 말씀.

 

그곳에 그대로 묵은지와 김칫국물을 몽땅 넣어주고 물 1L 부어주세요.

대파는 큼직하게 썰어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늘도 통마늘로 한줌 넣어주시고 멸치액젓, 간장, 설탕으로 간을 해줍니다.

신맛과 최고의 궁합을 보여주는 단맛의 왕 설탕.  아무리 설탕 적게 먹기로 했다지만... 쓸땐 써야죠.

 

그리고 50~60분동안 찜통에 끓여주세요.  30~40분이면 쫄깃한 수육식감, 50~60분이면 젓가락으로 부드럽게 찢어지는 부드러운 식감의 김치찜을 만날 수 있어요.  취향에 맞게 조리시간맞춰 뚜껑덮고 중불에서 익혀주시면 됩니다.

 

1시간 끓인 김치찜.. 새콤하면서도 돼지고기의 기름이 올라온 저 냄새... 거기에 마늘 한스푼 넣어서 마늘향까지 입혀줍니다.  김치찜 전문점에 가면 돼지고기랑 김치는 가위나 젓가락으로 쭉쭉 찢어 먹었는데 정말 꿀맛이였거든요.

밥2공기 순삭에 라면사리까지 넣어서 먹었었는데... 

 

요즘 맛이 변했단 소문도 있고, 사무실도 이사를 해서 안가본지 꽤 오래된 맛집인데, 서대문 한옥집에서 먹던 김치찜 생각이 나네요.  한동안 전기밥통의 찜모드를 사용해서 김치찜도 많이 해먹었어요.  그러다 요즘은 전용찜기 인스턴트폿을 활용해서 김치찜을 해먹는데 정말 맛있어요.  바로 먹어도 맛있지만 데워서 두번째 먹을때가 더 맛있더라고요.  

 

어남선생 류수영 – 김치찜

❤️김치찌개보다 쉽게 만들고, 근사하게 즐길 수 있는 김치찜! 와인 안주로도 좋아요

■ 요리 재료

시판용 묵은지 500g, 김칫국물 약간, 돼지고기 앞다릿살 500g, 식용유, 소금 1꼬집, 물 1L, 대파 2~3뿌리, 통마늘 한 주먹, 멸치액젓 2T, 간장 1T, 설탕 깎아서 1T, 다진마늘 듬뿍 1T

■ 만드는 법

[김치찜]
1. 달궈진 냄비에 기름 2바퀴 두른 뒤, 돼지고기 앞다릿살 500g을 통으로 넣고 노릇하게 굽는다.
📢돼지고기 앞다릿살은 기름이 많은 부위를 사용하는게 훨씬 더 맛있습니다!

2. 중불로 줄이고, 고기에 소금 1꼬집을 뿌려 간한 뒤, 묵은지 500g과 김칫국물을 넣는다.
📢돼지고기와 묵은지는 같은 양을 넣어줘야 합니다!

3. 물 1L를 붓고, 대파 2~3뿌리를 김치크기로 길쭉하게 썰어 넣고, 통마늘 한 주먹을 넣는다.

4. 멸치액젓 2T, 간장 1T, 설탕 깎아서 1T를 넣고 간한 뒤, 뚜껑 덮고 중불에 50분 동안 끓인다.
📢30~40분 끓이면 쫄깃한 수육 식감의 고기를, 50분 이상 끓이면 야들야들 부드러운 식감의 고기를 맛볼 수 있습니다!

5. 다진마늘 듬뿍 1T를 넣고, 뚜껑 덮은 뒤, 약불에 5분 정도 뜸 들여준다.
📢다진마늘은 마지막에 넣어야 마늘향이 훨씬 살고 맛있어집니다!

[플레이팅]
6. 큰 그릇에 고기를 먹기 좋게 썰어 넣고, 포기김치, 파를 통으로 올린 뒤, 국물을 부어주면 완성!


이번엔 김치를 활용한 해장죽을 알려드립니다.

김치죽은 찌개나 찜이 아니기 때문에 참기름이 들어가요.   재료는 맛김치, 참기름, 즉석밥, 참치액젓입니다.

참기름 2T를 넣고 약불을 켠 뒤 김치, 김칫국물, 참치액젓1T를 넣고 잘 볶아주세요.

 

김치가 어느정도 익으면 즉석밥을 넣고 김치양념이 잘 배이도록 골고루 펴주세요.

죽을 하기위한 물의 양은 밥 양의 4배로 잡으면 돼요.  밥1 : 물4 비율로 해주시고 설탕 1t도 넣어주세요.

 

중불에서 10분간 졸여 물의 양이 1/4로 줄어들때까지 끓여주세요.  걸쭉하게 졸아들면 참치액젓을 1T 넣어 간을 맞춰주세요.

 

가장 약한불로 줄이고 달걀3개를 죽 위로 무심하게 툭툭 깨서 올려준 뒤 뚜껑덮고 3분간 뜸을 들여주세요.

그러면 수란이 올라간 김치죽을 볼 수 있습니다.

 

고소하고 새콤한 김치죽과 촉촉한 수란에 김가루, 참기름, 참깨, 고춧가루까지 솔솔 뿌려주면 아으...

 

맛 없을 수 없는 비주얼이네요.  15분만에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해장죽입니다.

 

어남선생 류수영 – 수란 김치죽

❤맛김치, 즉석밥, 달걀, 참치액젓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는,
초간단 수란 김치죽!
해장으로도 딱😗

■ 요리 재료 (1~2인분 기준)

시판용 맛김치 100g, 김칫국물 약간, 즉석밥 1개, 참기름 2T, 참치액젓 2T, 물 800mL, 설탕 1t, 달걀 3알, 김가루, 통깨, 참기름 1바퀴, 고춧가루 약간

■ 만드는 법

1. 약불에 프라이팬을 올리고 참기름 2T를 넣는다.
📢참기름은 발연점이 낮아 쉽게 타기 때문에 반드시 프라이팬을 달구기 전에 둘러주세요!

2. 맛김치 100g과 김칫국물, 참치액젓 1T를 넣고 달달 볶아준다.

3. 즉석밥 1개를 넣고 양념이 잘 스며들게 골고루 펴주고, 물 800mL 넣는다.
📢죽을 만들 때는, 물 양을 밥의 4배로 계량해주세요!

4. 설탕 1t을 넣고 중불에 10분간 졸인다.
📢물 양이 1/4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졸여주면 됩니다!

5. 참치액젓 1T를 추가한 뒤, 완전 약불로 줄이고, 달걀 3개를 깨뜨려 넣은 뒤, 뚜껑 덮고 3분간 뜸 들여준다.
📢참치액젓 양은 간 보시고 맞춰서 조절해주시면 됩니다!

6. 김가루와 통깨를 솔솔 뿌리고, 참기름 1바퀴 두른 뒤, 고춧가루까지 뿌려주면 완성!
📢섞지 않고 그대로 떠 먹는 게 가장 맛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