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편스토랑

류수영_K-푸드_미역국3종세트_210903

by 암흑탐험가 2021. 9. 5.
반응형

이번주도 K-푸드를 주제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오늘 나오는 주인공은 이경규, 기태영, 류수영이네요.  

경규옹은 꽁트식으로 주제에 접근하고 기테일 기태영은 아이들 관련된 음식을, 류수영은 다양한 분야에 박식함을 자랑하고있죠.  저번주 막걸리를 너무 많이 마신 김승술님은 술이 아직 덜 깼는지 95화에선 별다른 활약이 없었습니다. 

 

그래도 세분만으로도 유익하고 배움 가득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어남선생은 이번에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  복잡해 보이는 요리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니 한번 해볼까? 하는 근거없는 자신감을 만들어줍니다.  이번의 주제는 미역국인데 정말 꼭!!!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저희집은 미역국을 늘 실패하는 바람에 아이템빨로 미역국의 맛을 살렸습니다.  아이템 없어도 맛있는 미역국을 끓여보고 싶어요.

 

☆한우양지미역국 재료

한우양지1++. 무(하얀부분), 대파 2뿌리, 사과반개, 미역(시중미역 아무거나), 참기름, 간장, 까나리액젓

 

미역은 1시간정도 물에 담가 불려놓습니다.

고기는 한우양지 1++ 등급으로 사용하고, 잡내 제거를 위해 키친타올로 핏물을 잘 닦아주고 냄비에 넣어주세요.  

무는 아래쪽 하얀부분은 매운부분, 위쪽 파란부분은 안매운 부위라 하얀부분만 통으로 듬성듬성 썰어서 넣어줍니다.  파는 2뿌리 깨끗이 잘 씻어서 적당히 썰어서 넣고 사과는 씨를 빼서 반개만 넣고 팔팔 끓여줍니다.

 

양지육수를 끓이면서 위에 떠오르는 검은 핏물은 제거해줍니다.  육수가 절반정도 줄어들면 불을 꺼주세요.  

불린 미역은 4인가족 2번정도 먹을 정도는 두주먹 정도면 됩니다.  불린 미역 2주먹가량을 복조리채에 받쳐 흐르는 물에 잘 씻어주셔야 합니다.

 

잘 씻은 미역은 먹기적당한 크기로 자른뒤 물기를 꼭 짜서 냄비에 넣고 참기름 5T 넣고 골고루 잘 섞이도록 볶으면서 다진마늘을 넣어줍니다. 마늘을 나중에 넣으면 마늘향이 너무 강하게 남으니 처음 미역 볶을때 넣어주면 좋습니다.  마늘은 많이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골고루 볶아줘야 비린내도 없어지고 독한 마늘향도 날라갑니다.

 

마늘맛이 단맛으로 바뀔때쯤 까나리액젓1T, 국간장1T만 넣습니다.  간은 소금으로 맞추시면 됩니다.  국간장 2T이상 넣으면 탁해집니다.  절대 간 약하다고 간장을 더 넣지 마세요!!!!!!!

 

그리고 준비한 육수를 부어주면 완성! 그리고 소금으로 간을 맞춰줍니다. 

꼭 기억하세요. 간장으로 간 맞추다 망합니다.

그리고 고기육수를 내기위한 양지를 꺼내 고기 고명으로 잘라 올려줍니다.

 

완성된 비주얼

고기고명 올려주고 참기름 몇방울 떨궈주면 완성.  먹고싶어지고 침넘어가는 비주얼입니다.

 


다음은 자른미역으로 간단하게 만드는 새우미역죽입니다.

 

재료 : 자른미역, 새우, 즉석밥, 참기름, 국간장, 소금

자른미역 2T는 넉넉한 1인분, 3인분으로 6T를 물에 30분간 불려주고 체로

걸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줍니다.

 

깨끗이 씻은 미역을 냄비에 넣고 볶아줍니다.  이때 1인분 당 참기름 1T(3T)를 넣고 다진마늘 1개 넣고 잘 볶아줍니다.  국간장 2T를 넣고 소금 쪼~금만 넣어 간을 맞추고 즉석밥 1개당 물 1L를 넣고 죽을 끓이면 됩니다.

 

 데우지않은 즉석밥을 바로 넣고 끓이다가 국물이 자작해질때쯤 냉동새우를 넣어줍니다.  그런뒤 약불로 줄이고 졸여줍니다.  (새우넣고 대략 5분정도)  다 끓인 새우미역죽은 참기름 약간, 깨 뿌려서 내주시면 끝! 

 

 

마지막으로 못된맛을 하나 선보여줬습니다.

 

준비물 : 너구리1봉, 남은 미역국, 고추기름

방법 : 미역국에 너구리 넣고 스프와 후레이크, 다시마 넣고 라면 끓이는것처럼 끓여줍니다.  다 끓인 라면에 고기고명 올리고 고추기름을 넣어주면 완성.  (양평해장국 맛이 난다고 합니다)

 

이것도 꿀팁인 것 같아요.  요즘 미역라면이 나온건 알고있었지만 이런식으로도 조합이 가능하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다음에 미역국 남으면 꼭 도전해보고싶은 맛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