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는 한 건물에 몇십개~몇천개의 전화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별도의 사설 교환기를 설치하게 됩니다.
아래는 콜센터 호 흐름에 대한 구성도 입니다. 콜은 Voice(음성통화)와 Data(서버간 통신)으로 이동합니다.
붉은색은 음성전화의 흐름, 파란색은 Data통신의 흐름입니다.
빨간색이 중간에 끊어지는 경우 전화가 끊어지게 되며, 파란색이 끊어지는 경우 콜받는건 문제 없지만 고객정보를 확인할 수 없거나 녹취파일에 필요한 정보(고객정보 등)가 포함되지않아 검색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고객이 콜센터 전화 (지능망으로 전화)
- 15xx-xxxx이나 080-xxx-xxxx같은 지능망 번호로 고객이 전화를 건다
2. PBX에서 전화수신
- 전화국에서 전달한 고객전화를 콜센터 사설교환기(PBX : Private Branch eXchange)로 수신
3. PBX에서 전화 IVR 전달
- PBX는 전화국에서 보낸 고객전화의 발신번호를 확인하여 설정되어있는 IVR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콜센터 PBX는 적게는 1~2개, 많게는 몇십개 콜센터 전화를 처리하고 있음)
4. IVR서버에서 호 처리
- IVR서버로 전달된 고객전화는 IVR의 상담시나리오에 따라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상담원 요청 시 CTI서버에게 전화받을 수 있는 상담원이 있는지 정보를 확인한다.
(IVR서버는 고객이 상담원에게 바로 연결되지 않고 약간의 시간을 지연되게 만들어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도 함)
5. IVR서버가 PBX서버로 호전환
- 고객이 상담원 요청 시 PBX로 고객전화를 전달한다. 만약 상담원이 전부 통화 시 PBX에서 호 대기한다.
(대기 시 멜로디, 음성안내 등 반복하여 틀어준다)
6. 상담원 호 연결
- IVR서버에서 CTI DB로 상담원 유휴상태 확인 및 해당 전화 전달 시 고객DB정보도 같이 전달한다.
이때 전화는 교환기 -> 스위치 -> 상담원 전화기로 연결되고 CTI서버에서 녹취서버와 상담원PC 상담프로그램에 고객정보를 보내줘서 상담원은 고객정보를 확인한 상태에서 전화를 받고 녹취는 고객정보(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추후 녹취파일 검색 시 검색을 용이하도록 한다.
'콜센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다중접촉직군 백신우선접종 (콜센터) (2) | 2021.07.11 |
---|---|
콜센터의 손익 (0) | 2021.06.25 |
콜센터야이기 - 녹취(TDM, IP) (0) | 2021.06.02 |
콜센터 아웃바운드 구성도 (0) | 2021.05.26 |
콜센터란? (전화인입) (0) | 2021.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