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4, 5학년 학부모입니다.
코로나 전엔 출근할때 애들과 같이 집을 나서게 되어 아무 걱정 없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관리가 안되네요.
온라인 수업을 하다보니 노트북 한대씩 장만해줬는데 한동안 잘 하다가 어느순간 유튜브의 세계로 빠져서
헤어나오질 못하네요 ㅠ.ㅠ
카톡으로 그날 배운 배움공책 쓴거 올리라고 해서 스맛폰도 주고 노트북도 줬더니 애들만 살맛났어요.
전화기는 구글 패밀리링크 + ZEM을 이용해서 하루 2시간 설치된 게임들 사용하게 설정했는데
노트북은 어떻게 막아야할지 처음엔 막막했었어요...
해결책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공유기에서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공유기에 접속한 장치들은 고유 Mac address를 갖고있죠. 그것들을 확인한 뒤 각각의 장비들에 대해 설정을 걸어주면
쉽게 제어가 가능합니다.
저는 iptime 제품을 사용하고 있어서 그 제품에 대해서만 작성합니다.
일단 공유기 접속을 할 줄 알아야 하겠죠....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주소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 후 접속하면 끝.
만약 안된다면 윈도버튼 -> cmd (엔터) -> ipconfig (엔터) -> 192.168.0.1 주소 확인하고 주소창에 입력 후 엔터
로그인창이 뜨는데 제품매뉴얼에서 확인해보세요. admin/admin 이거나 root/root 아님 어딘가 적혀있을거예요.
접속 후 관리도구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외부IP주소는 휴대폰 or 회사컴 등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주소... 원격관리정보는 보안기능 -> 공유기 접속/보안관리에서 원격관리포트사용에 체크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외부IP주소가 1.1.1.1이고 원격관리포트를 1234로 설정한 경우 휴대폰에서 1.1.1.1:1234 (엔터) 하시면 집 밖에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암튼... 보안기능 -> 인터넷/와이파이 사용제한을 클릭하시면 각종 기기들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위에 보시면 인터넷사용제한 옆에는 정책의 이름을 적고 순위는 해당 정책이 몇번째로 적용되는지 입니다.
내부 -> 외부로 놓으면 외부로 나가는 모든것, MAC주소를 눌러보시면 접속한 기기의 MAC주소가 다 나와요.
자세한건 고급설정 -> 네트워크관리 -> 내부네트워크설정을 누르시면 사용중인IP, MAC, 기기이름이 나와요.
유선인경우 PC나 프린터 등, 핸폰인 경우는 기기명이 뜨고 PC나 노트북의 이름도 나오게 됩니다.
IP로 하는게 편하긴 하지만 공유기 특성상 IP는 기기 재부팅 시 변경될 수 있으니 MAC으로 사용하세요.
차단을 눌러보시면 차단/허용 둘 중 하나인데 정책을 차단할건지 허용할건지 결정하는거예요.
제가 설정한 정책은 월~금 14:30~21:00까지 notebook 장비는 외부로 나가는 모든패킷 차단으로 되어있으므로
해당시간에는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 위에는 유튜.. 이란 이름의 정책도 보이실거예요.
가끔 인터넷은 되어야 하는데 유튜브만 차단이 필요한경우 저렇게 사용합니다. 만약 유튜브만 차단하고 싶으시다면
인터넷사용제한 -> 사이트접속차단으로 변경하시고 MAC주소 선택, 차단할 사이트명 입력, 차단정책설정, 순위설정 및 적용을 누르시면 됩니다.
순위 : 해당 정책이 몇번째로 적용되는지 결정
차단 : youtube (접속주소에 youtube가 포함되는 주소는 모두 차단, 만약 넥슨을 차단한다면 nexon이라고 하면...)
공유기 정책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방화벽 정책이나 비슷합니다.
순위는 1번부터 적용되고 1번에 해당되면 그걸로 끝~ 2번 이하 정책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1번 정책에 모든기기에서 youtube를 허용하는 정책을 걸어놓으면 2번에 특정기기 차단정책을 걸어도 유튜브는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저는 1번 모든장비에서 유튜브차단정책을 걸어놓고 규칙비활성화 걸었습니다.
유튜브나 특정 게임사이트만 차단을 걸고 인터넷 허용을 걸고싶으시다면 해당 장비의 MAC을 선택하시고
사이트접속차단 -> 유튜브차단 (이름은 똑같은것만 사용하면 안돼요. 차단1, 차단2 방식으로 설정)하고 youtube만 넣어서 정책을 만들어주시면 될 거 같아요.
이건 PC나 노트북에서 url방식 차단하는거라 휴대폰에서 유튜브 앱은 차단되지 않습니다. 앱 차단은 Family Link나 ZEM을 사용해서 제어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당연히 공유기에 접속한 장비만 제어가 되니... 해당 장비를 외부로 가져나가서 다른 공유기에 접속한다면
유튜브는 당연히 접속 가능합니다. (휴대폰 모바일핫스팟에 연결한다면 당연히 정책이 풀려요)
저와 비슷한 고민 하시는 분들이 있을거 같아 자그마한 팁 하나 올려드립니다.
'IT관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번터치 QR체크인 (0) | 2021.06.06 |
---|---|
검색엔진등록 - Google Search Console (0) | 2021.06.05 |
검색엔진등록 - 네이버 (0) | 2021.06.04 |
PC바이러스잡기 (0) | 2021.06.01 |
무선랜속도향상 (EasyMesh) (0) | 2021.05.27 |
댓글